본문 바로가기

경제 관찰실/뉴스 이야기

“2025년, 서울에서 6억 이하 아파트를 찾는 건 가능할까?”

728x90
반응형
LIST

🗓️ 2025년 5월 7일

6억이하

 

요즘 집 구하러 다니는 분들 사이에 이런 말이 돌죠.
“서울에서 6억 이하 아파트? 서울에 있기는 할까?
진짜일까요? 느낌이 아니라, 데이터로 확인해봤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단순히 ‘집값이 올랐다’가 아니에요.

대출은 막히고,
신규 공급은 줄고,

결국 선택지가 사라지고 있다는 거죠.
오늘은 서울 부동산 시장에서 ‘6억 이하 아파트’가 왜 멸종 위기인지,
그리고 그래도 우리가 찾을 수 있는 대안은 뭔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Summery.1 

“6억 이하” 아파트, 정말 줄고 있어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2022년 서울 아파트 거래 중 6억원 이하 비중은 40.3%였는데,
2024년 들어 20.6%로 ‘반 토막’이 났습니다.

구분
2022년
2024년
서울 6억 이하 거래 비중
40.32%
20.64%
경기
78.64%
69.39%
인천
90.24%
84.48%


'서울에 6억 이하 집'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건,
단순한 느낌이 아니라 데이터로 증명된 팩트입니다.



 Summery.2 

집값은 오르는데, 대출은 더 어려워져요

 이쯤 되면 자연스럽게 이런 말이 나옵니다.

“그래도 대출받아서 사면 되지 않아?”

그런데 현실은요…

  • 디딤돌대출은 6억 이하 주택만 가능
  • 그런데 서울에서 6억 이하 집이 거의 없음
  • 거기에 금리도 4% 후반대 수준
  • 그리고 곧 DSR 3단계 전면 시행

이 말은요,

대출 심사에서 더 높은 금리를 반영해서 계산하고
모든 부채 합산해서 소득 기준 넘으면 대출 자체가 불가하다는 얘기예요.
결론: 집값은 오르는데, 돈 빌리는 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Summery.3 

“그럼… 서울에서 아직 남은 6억 이하 아파트는?”

 

 

그렇다면 진짜 궁금해지는 건 이거죠.

“서울에도 아직 6억 이하 아파트, 있긴 있어?”

그래서 직접 찾아봤습니다. 최대한 초역세권 단지로 찾아봤으니 주목하세요!

그것도 실수요자들이 가장 많이 선호하는

전용 59㎡ 기준으로요. (대출도 딱 이 면적에서 많이 쓰이죠!)

🔍 서울 6억 이하 전용 59㎡ 아파트 리스트 (2024~2025 실거래 기준)

자치구
단지명
전용면적
최근 실거래가 (만원)
비고
도봉구
래미안도봉
59㎡
57,000
1호선 도봉역, 초역세권
노원구
상계주공10단지
58㎡
58,600
7호선 마들역 인근, 재건축 추진 중
중랑구
신내6단지시영
59㎡
57,750
6호선 봉화산역 도보권
금천구
금천현대
59㎡
53,000
1호선 독산역, 안양천 인접

 

 
6억이하
도봉 래미안

 

 
6억이하
상계주공10단지
6억이하
신내6단지 시영
6억이하
금천현대

 

 

 



 Summery.4 

그럼 지금은 어떻게 움직여야 할까요?

요즘은 “싸니까 산다”는 시장이 아니에요.
입지, 생활 인프라, 미래 가치까지 다 따지는 시기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실수요자들이 요즘 다시 청약에 관심 갖기 시작했어요.

  • 아직 분양가는 매매가보다 낮은 경우 많고
  • 대출 규제도 덜하고
  • 새 아파트라는 메리트도 있고요

하지만 문제는… 분양 물량 자체가 많지 않아요.
‘괜찮은 새 아파트’를 찾는 것 역시 쉽지 않은 미션이 되어버렸습니다.

예전엔 “6억이면 서울 어딘가는 살 수 있다”는 말이 당연하게 느껴졌어요.

근데 지금은요,
6억으로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소형 + 구축 + 외곽
세 가지 조건은 거의 필수처럼 따라붙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서울은 이제 끝났다”라고 말할 순 없어요.
여전히 누군가는 거기서 시작하고,
그 안에서도 가능성을 보는 사람들이 있거든요.

 



 Final Take 

"지금 서울에서 '가능성'을 찾는다면?"

 

“서울은 너무 비싸”라고 말하기 전에,
어디까지가 진짜 내 한계인지,
그리고 무엇을 우선순위로 둘지부터 차근히 짚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 시작이 바로, 이런 단지들일지도 모릅니다.
“살고 싶은 곳”과 “살 수 있는 곳” 사이에서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중간지대’,
바로 그 접점에 오늘 소개한 리스트가 있는 셈이니까요.

저도 요즘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어요.
올해 안에 1채 매수를 목표로 하고 있고,
예산도 9억 미만의 가격으로 잡음에도 불구하고,
막상 서울 안에서 ‘살 수 있는’ 단지를 찾다 보니
선택지가 정말 정해져 있더라고요.

그 한정된 매물 안에서,
어떤 게 내게 ‘가치 있는 선택’일지를 고민하는 시간,
결국은 저 자신도 ‘중간지대’를 어떻게 고를까를 두고
매일 마음속 저울질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