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관찰실/뉴스 이야기

"1분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 2만건 돌파 직전! 무슨 일이?"

728x90
반응형
LIST

🗓️ 2025년 4월 27일

올해 1분기(1~3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무려 1만9,376건으로 집계되며,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 토지 거래 허가제 완화 덕분에 '반짝 반등'했지만, 2분기에는 다시 거래가 얼어붙을 조짐이 보입니다.
"잠깐 불붙은 거래, 진짜 회복 신호일까? 아니면 반짝 불꽃일까?"
금리 인하 기대감, 토허제 해제 = 거래 급등
강남3구 신고가 행진, 평균 거래금액 최고치 경신
토허제 재지정 이후 급속 냉각
2분기, 다시 침체 가능성 크다!



 Summery.1 

"서울 아파트 거래, 4년 만에 터졌다"


 

올해 1분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1만9,376건을 기록했습니다. 2021년 1분기(1만3,799건) 이후 최대치인데요.

특히 2월(6,441건)과 3월(9,511건) 거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이전까지 5개월 연속 3천건대에 머물렀던 거래량이 갑자기 두 배 이상으로 치솟은 셈입니다.

  • 2024년 9월~2025년 1월: 월평균 3,000건대
  • 2025년 2월: 6,441건 (전월 대비 +88.1%)
  • 2025년 3월: 9,511건 (전월 대비 +47.7%)

이 급등은 단순한 시장 회복이라기보다, 금리 인하 기대감과 토지 거래 허가제 일시 해제라는 '정책적 이벤트'에 기댄 일시적 반응이라는 점이 중요합니다.

 



 Summery.2 

"강남3구 신고가 속출, 평균 거래가도 사상 최고"


거래량이 폭발하면서, 가격도 자연스럽게 상승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은 2월에 무려 14억6,676만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대표 사례로는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84㎡(국민평형)이 70억원에 거래되면서, 3.3㎡당 2억원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죠.

  • 2025년 2월: 14억6,676만원 (역대 최고)
  • 2025년 3월: 13억5,787만원 (전월 대비 -7.4%)

신고가가 속출한 강남3구가 평균 가격을 견인했지만, 이런 급등세는 곧 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거래량 자체가 정책적 완화 덕분에 일시적으로 폭발했기 때문입니다.

 



 Summery.3 

"하지만, 다시 찬바람이 분다"

 

 
JTBC 뉴스
 

 

3월 24일부터 서울시는 강남3구와 용산구를 다시 토지 거래 허가 구역으로 재지정했습니다.

바로 그 영향으로 3월부터 거래는 급감하기 시작했고,

  • 4월 26일 기준 거래량은 2,166건에 불과합니다.
  • 서초구: 2건, 강남구: 19건, 송파구: 33건, 용산구: 6건

거래가 말 그대로 "가뭄" 수준으로 줄어든 겁니다.

구분
실거래 건수
서초구
2건
강남구
19건
송파구
33건
용산구
6건

시장에 다시 냉기가 돌면서, 2분기에는 매수세가 확연히 위축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Summery.4 

"2분기 서울 아파트 시장, 어떻게 될까"

 

"1분기의 거래 급증은 구조적 반등이 아니라, 정책 변동과 기대심리에 따른 일시적 반등"이라고 봅니다.

특히 2025년 현재,

  • 신규 분양 물량은 적고,
  • 기존 주택 매물도 제한적이며,
  • 무엇보다 금리 인하 시점이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공급 부족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하 지연과 정책 방향성 불확실성 때문에 2분기에는 거래가 다시 매우 위축될 수 있다."

결국, 현재 시장은 본격 반등 국면이라기보다 "관망과 조정"의 시간을 맞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Final Take 

"흔들리는 신호 속에서도, 방향을 읽는 힘"

 

1분기 서울 아파트 시장의 "반짝 거래 증가"는 매우 상징적인 한것 같습니다.
얼어붙었던 시장이 금리 기대와 정책 변동만으로도 이렇게 빠르게 반응한다는 것을 보여줬으니까요.
하지만 그 불꽃은 오래 가지 못했고, 토허제 재지정, 금리 인하 지연, 공급 부족이라는 '현실'이 시장을 다시 조용하게 만들었습니다.
잠깐의 호재성 이벤트에 휘둘리기보다는, 지금은 시장의 깊은 흐름을 읽을 줄 아는 차분함이 필요할거 같은데..
단기 변동성에 지나치게 연연하기보다는, 서울 부동산의 장기적인 방향성과 구조적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